2022년도 국제협력 후속연구 지원 사업(Bridge Program) 신규 공모


한국연구재단은 국내-외 연구자간의 장기 협력연구기반을 마련하고 공동연구 추진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다음과 같이「국제협력 후속연구 지원 사업(Bridge Program)」의 신규과제를 공모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2년 9월 5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 광 복

1. 사업 목적

  • 국제협력사업의 우수성과에 대한 후속지원 및 기 구축된 협력 네트워크의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장기 협력연구기반을 마련하고 공동연구 추진 가능성을 확대 함.
  • 특히, 종료예정인 후속지원과제 중 우수 성과도출 과제를 연장지원 함으로써 탁월한 국제협력 성과창출을 유도함.
    • ※ 본 사업은 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 수 상한제도(인문사회분야 2책3공 및 과학기술분야 3책5공 등)에 적용을 받지 않음.

2. 사업 내용

사업 내용 표이며 구분, (유형1) 최초 후속, (유형2) 후속 연장 정보 제공
구분(유형1) 최초 후속(유형2) 후속 연장
사업 유형연구자 교류
지원 대상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종료과제 연구책임자 ※ 수행연도에 제한은 없으나 e-R&D 등을 통하여 수행경력이 확인되어야 함. ※ 단기 연구자교류(항공권/체재비 지원 사업) 수행자 포함'21년 선정 국제협력 후속연구과제 중 우수과제*의 연구책임자 * 신규공모 및 평가를 통해 우수과제 선정
지원 분야전 학문분야
※ 단, 기존 과제의 내용을 확대/심화/발전시키는 연구주제 또는 그와 유사한 내용이어야 함.
선정 규모25과제 내외
※ 추가예산 확보 시 선정 규모를 확대할 수 있음.(단, 후속 연장의 경우 선정율은 30% 내외를 유지)
지원 기간1년
※ 1년 수행을 원칙으로 하되, 우수성과 과제는 연장지원 가능
1년
※ 1년 수행을 원칙으로 하되, 우수성과 과제는 1년 연장 가능
지원 금액(과학기술) 30백만원 이내, (인문사회) 20백만원 이내
비 고개인 단위가 아닌 연구그룹/연구실 단위로 수행하여 연구네트워크 구축, 참여 대상자(Post-Doc., 대학원생 등) 범위 다양화 등 파급효과 확대를 권장함.
  • [참고]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목록
[참고] 「국제기관간MOU지원사업」 목록 표이며 사업명, 협력대상국(Counter-part) 정보 제공
사업명협력대상국(Counter-part)
양자연구교류지원사업- 인도네시아(LIPI), 태국(NRCT), 대만(MOST), 베트남(VAST, NAFOSTED), 싱가포르(A*STAR, GYSS), 터키(TUBITAK)
- 스위스(SNSF), 프랑스(CNRS), 이태리(CNR), 러시아(RFBR), 벨기에(FWO), 벨라루스(BRFFR), 체코(GACR), 오스트리아/헝가리(FWF-NKFIH Lead Agency)
일반연구교류지원사업- 국제학술회의지원 / 코로나19 Rapid Call
- 신진연구인력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프로그램 등
IIASA(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원)협력사업- Post-Doc.지원, 박사과정생 하계연수 지원
개도국협력사업- 외국인과학자 국내초청·활용
한·중·일특별협력사업- 한일(JSPS) 협력연구/공동세미나, HOPE Meeting
- 한중(NSFC) 협력연구/공동세미나, 한중(NSFC) 핵심공동연구, 한중(CSTEC) 신진과학자교류
- A3(NRF/JSPS/NSFC) Foresight Program
한·독특별협력사업- (DFG) 한독국제전략연구그룹(IRTG)
- (DAAD) 한독파트너십프로그램(GEnKO), 대학원생하계연수, 연구자교류
- (AvH) 연구자교류
한·북유럽특별협력사업- (STINT) 국제연구교류지원, 노르웨이/덴마크/핀란드
한·미인문분야특별협력사업- 협력연구, 협력세미나

3. (유형1) 최초 후속

신청 자격

  • 학술진흥법 제2조의 “대학”(부설연구소 포함) 및 “연구기관”에 소속된 자 중, 해당기관장 명의로 신청이 가능한 자로서
  • 국제기관간 MOU지원사업 수행 연구자(1p. 지원 대상 참조)

신청 제한

  • 연구개시 예정일자를 기준으로 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 진행되는 국제협력사업*에 연구책임자로 참여 중이거나 예정인 자**
    • 단, 코로나19로 인하여 연구기간이 연장된 과제의 경우 신청과제의 연구개시 예정일자가 연장된 연구기간에 해당되더라도 신규사업 신청 및 수행 가능(연장되기 전 연구기간에 해당되는 경우는 신청 불가)
      * 한국연구재단 기관고유 국제협력사업

      연구교류지원(양자/일반), 한중(NRF-NSFC) 협력연구, 한일(NRF-JSPS) 협력연구, 한중핵심공동연구, A3 Foresight Program, 한중(NRF-CSTEC) 신진과학자교류사업, 한독특별협력(DFG/DAAD/AvH 관련), 한북유럽 특별협력(STINT/노르웨이/덴마크/핀란드), 한미인문분야특별협력, IIASA 협력사업

      ** 상기 국제협력사업 신규공모와 중복신청은 가능하나 중복수혜는 불가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제재 조치를 받은 연구자는 제재기간이 연구계획서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종료되는 경우에만 신규과제 신청 및 참여 가능
  •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해당 과제의 결과보고서 제출기한이 경과하였음에도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연구자는 신청 불가
  • 동일주제로 재단 및 타 기관의 지원을 받은 과제는 신청 불가
  • 본 사업 내에서 1인 1과제만 참여 가능(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원 등)

신청기간/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 기간 : 2022.9.13.(화) ∼ 10.6.(목) 18:00까지
    • 마감일시까지 반드시 연구자 접수, 주관기관 승인이 모두 완료되어야 함.
    • 주관기관 미승인 과제는 미접수로 처리되며,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증가로 인해 재단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e-R&D)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마감일 이전 접수 요망
  • 신청 방법 : 재단 연구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접속하여 신청

    < 신청서 제출 세부 방법 >

    ▪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접속하여 신청

    ▪ 신청자 제출 → 소속기관(주관연구기관) 승인 → 신청 완료

    • 신청서 제출을 위하여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시스템(www.kri.go.kr)*의 신청자 정보(인적사항 및 연구업적 등) 등록(또는 갱신)은 필수사항이며, 며칠의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여유를 가지고 신청 접수 바람.
      * KRI 정보등록 관련 문의 : ☎ 042-869-7744
    • 기한 내에 주관기관 승인 미완료 과제는 평가대상에서 제외되며, 접수 마감시간 이후 시스템 접속 불가
    • [KRI 신규가입자] KRI 미가입자는 KRI에 가입하기 전에 IRIS에 먼저 가입한 후, NRI국가연구자 등록을 통해 국가연구자번호를 발급해야 함.
      ☞ IRIS 회원 가입 ➟ NRI 연구자 전환 ➟ 국가연구자번호 발급 ➟ KRI 회원가입 ➟ KRI 연구자 전환
  • 제출서류(3건) : 연구계획서, 교환 서신(e-mail 등),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평가 절차

평가 절차 표이며 구분, 내용, 비고 정보 제공
구분내용비고
요건 심사신청공고에 근거한 자격충족 여부 등한국연구재단
(e-R&D시스템 등)
전무가 평가연구계획서 등 제출자료에 대한 평가외부 전문가 평가
선 정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 선정한국연구재단

평가항목 및 배점

평가항목 및 배점 표이며 평가항목, 평가지표, 배 점 정보 제공
평가항목평가지표배 점
기 수행 연구성과의 우수성
(20)
기 수행 연구성과의 우수성
- 연구목표 달성 결과 및 연구결과의 질적 우수성
- 연구성과의 파급효과 및 활용 가능성
20
연구계획
(40)
연구과제의 창의성 및 필요성
- 연구목표의 타당성, 달성가능성 및 아이디어의 혁신성 등
5
수행계획의 충실성 및 추진체계의 적절성
- 상대측과의 교류실적 등 협력기반 구축 정도
- 교류계획의 타당성, 기술/인적교류의 구체성 및 적절성
20
기 수행연구와의 연계성10
교류비용 등 예산계획의 적절성5
연구역량
(20)
신청자의 연구역량 수준 및 연구성과 보유 정도10
상대측 연구자/기관의 연구 역량10
기대효과
(20)
연구과제의 파급효과 및 연구성과의 활용 가능성
- 국제화 기여(글로벌 네크워크 구축, 협력 강화 등) 가능성 등
10
연구과제 수행의 국내외 연계 및 협력 가능성
- 해외 연구진과의 상호연계를 통하여 실질적 공동연구 그룹으로 발전할 가능성
10
합계100

※ (정성우대) 연구그룹/연구실 단위로 수행, 참여 대상자(Post-Doc., 대학원생 등) 범위 다양화 여부

선정

  • 전문가 평가 결과에 따른 과제 지원 우선순위 결정
    • 적격자 부재 시 과제를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 ‘평가 및 선정’에 관한 세부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며 ‘선정평가계획’ 수립 시 최종 확정됨.

4. (유형2) 후속 연장

신청 자격

  • 학술진흥법 제2조의 “대학”(부설연구소 포함) 및 “연구기관”에 소속된 자 중, 해당기관장 명의로 신청이 가능한 자로서
  • '21년 선정 일반연구교류지원사업(국제협력 후속연구) 수행 연구자

신청 제한

  • 연구개시 예정일자를 기준으로 재단의 기관고유사업으로 진행되는 국제협력사업*에 연구책임자로 참여 중이거나 예정인 자**
    * 한국연구재단 기관고유 국제협력사업

    연구교류지원(양자/일반), 한중(NRF-NSFC) 협력연구, 한일(NRF-JSPS) 협력연구, 한중핵심공동연구, A3 Foresight Program, 한중(NRF-CSTEC) 신진과학자교류사업, 한독특별협력(DFG/DAAD/AvH 관련), 한북유럽 특별협력(STINT/노르웨이/덴마크/핀란드), 한미인문분야특별협력, IIASA 협력사업

    ** 상기 국제협력사업 신규공모와 중복신청은 가능하나 중복수혜는 불가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제재 조치를 받은 연구자는 제재 기간이 연구계획서 신청마감일 전일까지 종료되는 경우에만 신규과제 신청 및 참여 가능
  •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를 지원받고 해당 과제의 결과보고서 제출기한이 경과하였음에도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연구자는 신청 불가
  • 동일주제로 재단 및 타 기관의 지원을 받은 과제는 신청 불가
  • 본 사업 내에서 1인 1과제만 참여 가능(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원 등)

신청기간/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 기간 : 2022.9.13.(화) ∼ 10.6.(목) 18:00까지
    • 마감일시까지 반드시 연구자 접수, 주관기관 승인이 모두 완료되어야 함.
    • 주관기관 미승인 과제는 미접수로 처리되며, 접수 마감일에는 접속 증가로 인해 재단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e-R&D)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마감일 이전 접수 요망
  • 신청 방법 : 재단 연구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접속하여 신청

    < 신청서 제출 세부 방법 >

    ▪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 접속하여 신청

    ▪ 신청자 제출 → 소속기관(주관연구기관) 승인 → 신청 완료

    • 신청서 제출을 위하여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시스템(www.kri.go.kr)*의 신청자 정보(인적사항 및 연구업적 등) 등록(또는 갱신)은 필수사항이며, 며칠의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여유를 가지고 신청 접수 바람.
      * KRI 정보등록 관련 문의 : ☎ 042-869-7744
    • 기한 내에 주관기관 승인 미완료 과제는 평가대상에서 제외되며, 접수 마감시간 이후 시스템 접속 불가
    • [KRI 신규가입자] KRI 미가입자는 KRI에 가입하기 전에 IRIS에 먼저 가입한 후, NRI국가연구자 등록을 통해 국가연구자번호를 발급해야 함.
      ☞ IRIS 회원 가입 ➟ NRI 연구자 전환 ➟ 국가연구자번호 발급 ➟ KRI 회원가입 ➟ KRI 연구자 전환
  • 제출서류(3건) : 연구계획서, 교환 서신(e-mail 등),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평가 절차

평가 절차 표이며 구분, 내용, 비고 정보 제공
구분내용비고
요건 심사신청공고에 근거한 자격충족 여부 등한국연구재단
전무가 평가연구계획서 등 제출자료에 대한 평가외부 전문가 평가
선 정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 선정한국연구재단

평가 방향

  • 종료예정 과제의 연구목표 달성 수준 및 성과의 우수성을 중점 평가

평가항목 및 배점(안)

평가항목 및 배점 표이며 평가항목, 평가지표, 배 점 정보 제공
평가항목평가지표배 점
기 수행 연구성과의 우수성
(60)
기 수행 연구성과의 우수성
- 연구목표 달성 결과 및 연구결과의 질적 우수성
- 연구성과의 파급효과 및 활용 가능성
60
연구계획
(15)
연구과제의 창의성 및 필요성
- 연구목표의 타당성, 달성가능성 및 아이디어의 혁신성 등
5
수행계획의 충실성 및 추진체계의 적절성
- 상대측과의 교류실적 등 협력기반 구축 정도
- 교류계획의 타당성, 기술/인적교류의 구체성 및 적절성
5
교류비용 등 예산계획의 적절성5
연구역량
(10)
신청자의 연구역량 수준 및 연구성과 보유 정도5
상대측 연구자/기관의 연구 역량5
기대효과
(15)
연구과제의 파급효과 및 연구성과의 활용 가능성
- 국제화 기여(글로벌 네크워크 구축, 협력 강화 등) 가능성 등
10
연구과제 수행의 국내외 연계 및 협력 가능성
- 해외 연구진과의 상호연계를 통하여 실질적 공동연구 그룹으로 발전할 가능성
5
합계100

※ (정성우대) 연구그룹/연구실 단위로 수행, 참여 대상자(Post-Doc., 대학원생 등) 범위 다양화 여부

선정

  • 전문가 평가 결과에 따른 과제 지원 우선순위 결정
    • 「국제협력사업 관리지침」에서 정한 부적격 과제는 선정 시 제외
    • 적격자 부재 시 과제를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5. (공통) 과제 지원 및 관리

최종보고서 접수 및 평가

  • 총 연구기간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최종보고서 접수
    • 별도 안내 시 상기의 최종보고서 제출기한은 변경 될 수 있음.
  • 최종평가에 관한 사항은「국제협력사업 관리지침」을 따름.
    • * 총 연구비 1억원 이하의 과제는 최종평가를 생략함을 원칙으로 하나, 연장지원여부의 결정을 위하여 필요 시 평가를 시행할 수 있음.

연구비 관리

  • 지급 : 협약체결 후 재단에서 주관기관으로 연구비 지급
  • 관리 : 주관기관에서 중앙관리하며, 회계 관리사항을 증빙 할 수 있도록 관리
  • 사용 : 협약용 연구계획서 및 「국제협력사업 관리지침」에 의거 사용
    ※ 연구비카드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통합이지바로(EZbaro)를 통해 관리
  • 정산 : 당해 연구기간 종료일까지 연구비 집행내역 등록 및 총(단계)연구기간 종료 후 3개월 이내에 전자정산 보고

연구성과 및 기타

  • 주관연구기관(연구책임자)은 연구기간 종료 후 5년간 전년도 연구성과 및 연구개발 결과를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e-R&D 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하며, 재단의 요구가 있을 경우 연구 성과물을 실물로 제출하여야 함.
  • 연구결과물(논문 등)에는 반드시 사사를 표기하여야 함.
    ※ 사사 문구

    ▪ (국문) 이 논문(저서)은 20**년도 한국연구재단의 국제협력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과제번호)
    ▪ (영문) This work was supported under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 manag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과제번호, FY20**)

  • 그 외 과제관리에 관한 사항은 「국제협력사업 관리지침」을 적용함.

6. 향후 일정(안)

  • 2022.10.6. 신청 마감
  • 2022.10월중 선정 평가
  • 2022.11월중 최종 선정 공고 및 협약 체결
  • 2022.12.1. 연구 개시
    ※ 단, 상기 일정은 사업 추진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7. 문의처

  • 사업 관련 : 한국연구재단 국제교류팀 연구위원 김지민 (jmkim@nrf.re.kr, ☎02-3460-5724)
  • e-R&D 시스템/KRI 등록 관련 : 한국연구재단 정보시스템지원팀 (☎042-869-7744)